•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5월 12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HOME
  • 연재

연재

개인 노래자랑인데 합창으로 끝나고, 고구마는 막걸리 판으로

서귀포오석학교 마당에 모처럼 음식이 가득 차려졌습니다. 개인노래자랑을 하는데 결국은 합창으로 끝나고, 고구마를 굽는 드럼통 주변에는 막걸리 파티로 이어집니다. 학교를 거쳐 간 많은 분들이 찾아와 이야기꽃을 피우고 봉투고 건네고 갑니다. 제54회 서귀포오석학교 상록제가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4-12-29 00:36

황홀한 풍광에 열매와 꽃 품었는데 ‘썩은다리’라니?

 사라지는 화순의 금모래 해변, 시멘트로 메워져 물가에서 멀어진 오름썩은다리, 이름만으로는 오름이라고 상상하기 힘들다. 알고 있는 의미의 ‘썩다’라는 의미에서 접근하면 이름의 이해도에 오해의 소지가 생긴다. 어떻게 형성되었을까라는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그곳에 사는 사

여행 김미경 2024-12-27 06:27

상복 터진 오석학교, 꽃처럼 기쁨도 활짝

상복이 터졌습니다. 교무실 테이블이 축화 화분으로 가득 찼습니다. 교실에도 웃음꽃이 활착 피었습니다. 세상이 어지럽지만 자원교사와 학생들은 수상소식과 축하 꽃으로 기쁨과 행복을 느낍니다.▲ 서귀포오석학교가 18일 제주도 문화상을 수상했습니다. 오쪽에서부터 오영진 교장,

서귀포 오석학교 장태욱 2024-12-21 07:41

몰망수, 동언새미, 섯언새미.. '큰논' 이전에 '큰호수'였다

 분화구를 둘러싼 바깥둘레가 무려 3.8킬로미터삼매봉 주변 거대한 화구 내부에 또 따른 화구구와 화구원을 가지고 있다. 이 화구원이 바로 하논이다. 지금 벼를 재배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또 다른 화구구는 보름이오름이다. 한번 큰 화산활동으로 분화구가 만들어진 곳에 다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김미경 2024-12-20 09:21

음력 11월 17일 밤, 서귀포의 슬픈 이름을 부른다

남영호 침몰사고가 발생한지 54년이 지났다. 54년 전, 300명이 넘은 무고한 생명은 차가운 12월의 바닷속에서 억울하게 생을 마감했다. 남영호 실종자의 가족들은 해마다 음력 11월 17일이면, 상을 차리고 그 억울한 죽음을 위로한다. 서귀포시 동홍동에 거주하는 홍태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장태욱 2024-12-18 01:03

시인 백석이 당나귀 타고 올 것 같은 겨울 숲

주말, 추억의 숲길설레는 마음을 아는지내 앞길에하얀 카펫이 깔렸다.바깥의 들끓는 함성미처 여기에 닿지 못하고흰옷 소녀를 맞으려바람도 숨을 죽였다.시인 백석이하얀 당나귀 타고나타날 것 같은겨울 숲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12-17 08:50

위령제 참석한 어린이 “남영호 사고는 너무 슬픈 일”

서귀포에 씻을 수 없는 트라우마를 남긴 남영호 참사. 당시 슬픔을 기억하는 사람이 모여 위령제를 열었다. 마침 휴일이라 청소년들도 참석했는데, 자신이 태어나기도 전에 발생한 참사인데도 어린이는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남영호 조난자 위령제가 15일 오전 서귀포시 정방폭포

이슈 장태욱 2024-12-15 21:47

주렁주렁 등불 같은 열매, 매일 스치는 발길에 살아남을까?

  초가지붕의 띠도 땔감도 소풍의 추억까지도오름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오름에서 먹을 것을 얻었고 초가지붕을 엮을 띠를 구하기도, 땔감도 구하러 오름을 오르기도 했다. 학생 시절 소풍으로 뛰놀던 이곳은 아주 먼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하지만 시간은 참 많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김미경 2024-12-13 00:07

고기국수 7천원과 몸국 8천원, 착한 가격의 비밀은 착한 건물주

식당 문을 열고 들어서자 생선 튀기는 냄새가 몰려왔다. 4인용 식탕 5개가 전부인데, 메뉴는 10개가 넘을 듯 했다. 다른 음식점과는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음식가격, 주인장이 30년 가까이 낮은 가격을 유지하는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몸국. 다른 음식점과는 달리

동네 맛집 장태욱 2024-12-10 08:33

피톤치드 짙은 향, 태초의 연못 앞에 모두 침묵했다

이른 아침 고살리숲,싸늘한 공기 앞세워코를 파고드는피톤치드 짙은 향오랜 세월숲을 흔드는맑은 시냇물의 노래여기 좁을 길을 냈다.비로소 속괴,시간이 멈춘태초의 연못 앞에서모두 침묵했다.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12-09 00:08

불법계엄으로 추락한 권위, 잉크 안 마른 대통령상을 어찌 할까요?

서귀포오석학교가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전국자원봉사자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습니다. 상을 주는 윤석열 대통령이 불법계엄을 시동한 직후 받은 것이라, 상 받은 걸 주변에 제대로 자랑도 못합니다. 게다가 행사를 주관한 행정안전부의 장관이 불법계엄에 동조한 사실이

이슈 장태욱 2024-12-07 21:53

몽골 떠난 자리에는 마르지 않는 못, 겨울인데 나무에는 꽃이 다닥다닥

 개미탑의 붉은 단풍은 뜨거웠던 여름의 열기를 뿜어낼 듯바람을 피하고 싶을 때도 있지만 마주하고 싶을 때가 있다. 수산리 생태길에서 만난 돌미오름은 가슴을 탁 트이게 만드는 그런 바람과 하늘과 빛이었다. 그곳은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여러 대가 돌아가고 있다. 초원에

여행 김미경 2024-12-06 23:49

천주교 선교하러 화전민이 된 사람, 후손은 돈 벌러 일본에 가

서홍 호적초에 보이는 가구 수로는 1896년 34호 85명, 1897년 22호 75명, 1900년 7호 33명, 1905년 7호 34명 1907년 7호가 거주하고 있다. 서홍 호적초를 기반으로 당시 생물도화전에 거주했던 주민을 추적했다.■ 3통 4호 진명송(秦明宋)교생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12-05 11:16

솥뚜껑만 한 접시에 왕돈까스, 4인용 테이블 절반 차지

고교 3학년 때 처음으로 돈가스를 먹었다. 단순히 돈가스를 처음 먹은 게 아니라, 돈가스를 앞에 두고 책이나 영화에서 보던 포크, 나이프를 처음 잡았다. 포크, 나이프가 먼저 나오고 후에 스프와 돈가스가 차례로 나오는데, 그건 음식의 신세계였다.▲ '흑돼지 왕돈까스'

동네 맛집 장태욱 2024-12-02 22:42

군산 정상에 바람, 겨드랑이에 싹이 돋는다

연말 이라,흐르는 청춘 붙들려는조급한 마음으로바람을 거슬러 찾은 군산부지런한 바람은산에 조각을 새기고부지런한 발길은오솔길을 냈다.정상에서 맞는겨울 바닷바람겨드랑에서새싹이 돋는다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12-02 08:46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5-05-11 07:47
동네 맛집

이토록 고급스럽고 건강한 밥상이 9,000원, 이러면 너무 미안한데

2025-05-10 09:16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꿀도 향기도 없지만, 수고 뒤에는 달콤한 열매를 약속하는 꽃

2025-05-09 08:18
親Book 동네

폐쇄적 사회에서 그들의 사랑이 유난히 ‘격정’적인 까닭은?

2025-05-08 01:44
여행

벚꽃 날리는 날, 윤동주가 늙은 교수 강의에 가던 교정을 걸었다

2025-05-07 10:46
기고

서귀포 엄마들이 부르면 대학이 온다

연재 인기기사

  • 1

    쇠소깍 선남선녀의 눈물, 밤새 안개로 피올랐다

  • 2

    이대터널과 비양나무, 특별한 시간을 기억하는 섬

  • 3

    산정호수 아래 이처럼 어여쁜 난초 키운 건 쏟아지는 낙엽

  • 4

    산속에 재건된 초가 사찰, 예불 때 화전민에게 손녀 맡긴 할머니

  • 5

    숲 터널에서 이름 내려놓고 오름 정상에서 풍경에 잠겼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