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5월 12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HOME
  • 기사검색

'장태욱'기자의 전체기사

역대 최고가 기대했던 레드향, 시장에서 고전하는 이유

2023년 산 노지감귤 가격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레드향 가격이 시세가 기대를 밑돌고 있어 농가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가을 열과 피해까지 심하게 겪었던 터라 다른 작목으로 갈아타야 하는 게 아닌지 고민하는 농가도 늘고 있다.제주감귤출하연합회 발표로는 23일

이슈 장태욱 2024-01-23 20:12

고향→화전촌→오사카, 제주도 디아스포라와 화전의 성쇠

남원읍 신례리 마을 산간에 이생이오름(이승악)이 있는데, 1918년 지형도에는 오름 북동쪽에 여러 화전민의 집이 보인다. 이곳에 살던 김씨 집안은 신례리 2170번지 화전 터에 대한 세금을 지금도 내는데, 토지세가 2500원이라고 했다. 선대의 가계도를 보니 한경면 신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4-01-22 23:27

12가지 반찬에 구수한 된장국, 꽉 찬 백반인데 8000원

집밥이 그리운 날이 있다. 여행스케치가 노래했듯 바깥 밥이 물린 날은 장국과 연탄불 고등어가 생각이 절실하다.서귀포시 학생문화원 가까운 곳에 집밥처럼 소박하지만 따뜻한 밥상을 차려주는 음식점이 있다. 주인장은 30년째 식당을 운영하는데, 메뉴는 백반정식 오직 한 가지다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4-01-20 10:41

제주도가 ‘맨발의 꿈’ 동티모르에 뿌린 7번째 씨앗

동티모르는 포루투갈의 식민지와 인도네시아 점령기 등을 거친 훈 2000년대에 정부를 수립한 신생독립국가다. 커피생산 중심의 농업국가로 인구의 약 80%(2011년)가 농업에 종사하는데, 실상 농업생산성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인구가 120만 명 정도인데, 인구의 1/3

궨당네 장태욱 2024-01-18 21:14

인심 좋은 주인과 8천원 국밥, 누구나 '풍성한 마음'

한 차례 비가 내린 후 다시 추위가 몰려왔다. 이런 날씨엔 따뜻한 국물 한 그릇이 그리워진다. 인심 좋은 주인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북적대는 객들에 섞여 국밥 한 그릇 비워내면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데울 수 있다.가마솥에서/ 뿜어 나오는 뜨거운 김 주인 아낙/ 넉넉한 인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4-01-12 22:16

1만원인데 흑돼지수육에 옥돔구이까지, 남는 게 있을까?

예전엔 밭에 일을 갈 때면 으레 점심을 준비했다. 집에서 밥과 반찬을 준비하고, 국은 밭에서 끓였다.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일이 있으면, 역시 밭에서 나무로 불을 지피고 숯으로 생선이나 고기를 구웠다. 밭에서 먹는 점심은 나름대로 운치와 낭만이 있었다.언제부터인가 집에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4-01-05 01:37

이재수의 난 때 천주교인들 화전(火田)에 숨어 목숨 부지했다

1700년도 초반 경작할 토지를 찾아 목장에 들어오기 시작한 화전민들은 1800년대 들어서자 관영목장 밖으로 이동해 터를 잡았다. 목장세 부과를 피하려는 의도였다. 10소장 안에서는 목장경작세를 내야 했지만, 10소장 상잣 위 지역으로 이동하면 목장세를 피할 수 있었다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4-01-03 01:40

갑진년(甲辰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푸른 용이 승천한다는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습니다.아침 구름을 뚫고 새 태양이 온누리를 밝힙니다.독자 여러분의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4-01-01 09:08

2023년 오석학교 상록제 30일 열려

서귀포 오석학교가 12월 30일 상록제를 열었습니다.자원봉사 교사와 만학도 어르신들이 모여 가방고리와 에코백을 만들고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었습니다.자원봉사 교사들이 이른 아침 천막과 테이블, 의자, 음향장치, 풍선장식 등을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맛있는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3-12-31 01:30

인삼•대추 향과 진한 국물, 돼지족탕이 왜 이리 고급스러워?

날씨가 쌀쌀해지면 따뜻한 국물요리가 그리워지게 마련이다. 싸늘해짐 몸과 마음을 데우기에는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물이 최고다. 거기에 김치나 깍두기 한 점 더하면 겨울 음식으론 더할 나위 없다.▲ 돼지족탕 1인분 한 상(사진=장태욱)토평에서 사업하는 벗이 자주 가는 음식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3-12-29 23:43

감귤가격 1만4300원, 산타의 선물인가?

올해 산 제주감귤이 12월 마지막주에 접어들면서 폭등하고 있습니다. 연일 역대 최고 가격을 기록해 농가와 농협이 입을 다물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23일에는 5kg 한 상자 기준으로 전국 9대 도매시장 평균 경락가가 1만4300원을 기록해, 농가가 오히려 더 놀라는 분위

이슈 장태욱 2023-12-23 12:10

갈색 겉면 안에 선홍색 고기, 하얀 치즈 듬뿍.. 향기에 취한다

▲ 치즈돈까스(사진=장태욱)남원읍에 돈까스 전문 음식점이 생겼다는 예기를 몇 달 전에 들었다. 돈까스를 보면 떠오르는 추억도 있고, 아직까지 ‘초딩 입맛’이 남아 있어서 여전히 좋아한다. 귤 수확을 마쳤는데, 날씨마저 추워서 특별히 할 일도 없는 날이다. 점심에 고소한

동네 맛집 장태욱 2023-12-20 11:58

연말 가까워지면서 감귤 가격 상승세

12월 중순에 접어들면서 대도시 공판장에서 노지감귤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19일 대전국 9대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노지감귤 5kg 한 상자 평균 경락가는 1만1700원을 기록했습니다. 서울가락 도매시장에선 1만2500원을 기록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던 11월 중순

이슈 장태욱 2023-12-19 19:09

동백과 귤, 무밭.. 눈이 내려 오히려 빛깔이 눈부시다

16일 밤에 첫눈이 내렸다.예년보다 늦은 첫눈이다. 기상청은 16일 첫눈이 지난해보다는 16일, 평년보다는 6일 늦게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밤새 내린 눈이 들판을 하얗게 덮었다.흰 눈에 덮인 동백꽃이 유난이 붉은 빛을 발한다.아직 수확을 마치지 못한 귤나무도 눈을 맞고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3-12-17 10:10

남영호 참사 “일본은 시신을 관에, 대한민국은 가마니에”

▲ 남영호 조난 희생자 추모제가 15일 오전 10시, 위령탑 앞에서 열렸다. 사진은 나종열 유족회장이 분향하는 장면.(사진=장태욱)남영호 참사 53주기를 맞아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추모제와 추모예술제가 15일에 각각 열렸다. 참석자들은 승객을 살릴 수도 있었지만 사실

이슈 장태욱 2023-12-15 21:42

  • 16
  • 17
  • 18
  • 19
  • 20

최신기사

2025-05-11 07:47
동네 맛집

이토록 고급스럽고 건강한 밥상이 9,000원, 이러면 너무 미안한데

2025-05-10 09:16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꿀도 향기도 없지만, 수고 뒤에는 달콤한 열매를 약속하는 꽃

2025-05-09 08:18
親Book 동네

폐쇄적 사회에서 그들의 사랑이 유난히 ‘격정’적인 까닭은?

2025-05-08 01:44
여행

벚꽃 날리는 날, 윤동주가 늙은 교수 강의에 가던 교정을 걸었다

2025-05-07 10:46
기고

서귀포 엄마들이 부르면 대학이 온다

'장태욱'기자의 전체기사 인기기사

  • 1

    “가난한 농촌에 풍요를 일군 반세기, 고령화와 기후위기 시련도 넘어보자”

  • 2

    쇠소깍 선남선녀의 눈물, 밤새 안개로 피올랐다

  • 3

    이대터널과 비양나무, 특별한 시간을 기억하는 섬

  • 4

    산정호수 아래 이처럼 어여쁜 난초 키운 건 쏟아지는 낙엽

  • 5

    산속에 재건된 초가 사찰, 예불 때 화전민에게 손녀 맡긴 할머니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