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7월 02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HOME
  • 연재

연재

숲의 한 구석 되고파 언덕처럼 오르는 길, 새연교

장마 물러간 주말 아침우뚝한 한라산과푸른 하늘을 담은서귀포 바다최유리의 노래 가사처럼숲이 되고 싶은 작은 섬그 한구석이 되고파언덕처럼 오르는 새연교그늘진 좁은 오솔길 나무 틈으로 부는 바람오래 전 섬 지키던늙은 농부의 노래PHOTO BY 제주별 여행자 양희라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7-01 15:09

쫄깃하고 고소한 누룽지오징어순대, 부럽다 속초!

난 순대를 사랑한다. 내게 순대는 잔치 음식이다. 예전 제주도에선 잔치가 있을 때마다 순대를 만들었다. 고기가 부족하기 때문이었는데, 그런 기억 때문에 테이블에 순대 한 접시가 있으면 잔치에 초대된 것처럼 흐뭇해진다.순대를 담든 장면을 보는 것도 설레는 일이다. 돼지

여행 장태욱 2025-06-30 07:40

하원과 상원(영실) 사이 중원은 화전마을이었다

과거 서귀포시 하원동 상잣 위에 너른도화전이 있었다. 법정사항일운동 발상지로 가는 길가 하천변에 있었는데, 하원동 1848일원을 이른다. 주민들은 영실 주변을 상원, 이 지역을 중원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원동은 중산간 마을로 법화사와 관련이 많은 마을이다. 하원동에서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6-26 08:15

쫄깃하고 담백한 머릿고기와 순대, 풍성한 인심에 배도 마음도 채웠다

참새와 방앗간이란 속담이 있다. 근처를 지날 때면 들르지 않고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장소인데, 누구에게나 그런 장소기 있다. 돼지 머릿고기와 순대를 푸짐하게 내놓는 재래시장 식당이 있는데, 난 거길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제주시 이도일동 제주칼호텔과 광양사거리 중간 지점

동네 맛집 장태욱 2025-06-21 00:33

산 허리는 구름, 이끼 낀 웅덩이는 고요 담았다

연일 장맛비에마음마저 눅눅한데장마 잠시 쉬는 틈에서중천을 걸었다.어지러운 세상일렁이는 마음인가?울퉁불퉁 바위투성이구겨진 하천 바닥먼 산 허리는구름을 붙들고이끼 낀 웅덩이는고요를 담았다.PHOTO BY  제주별 여행자 양희라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6-19 16:50

큼직한 도미가 내는 싱싱하고 담백한 맛, 고급 지리가 1만 원

지리가 상에 올랐는데, 담백한 국물이 내는 고소한 향이 온몸에 스몄다. 푹 끓인 무와 도미가 어우러져 국물은 일품 맛을 낸다. 이런 먹고 기운을 내면 장마 며칠은 거뜬히 견디겠다.장마가 시작됐다. 안 그래도 습기가 많은 도시인데 앞으로 한 달 이상 습한 날씨가 계속될

동네 맛집 장태욱 2025-06-14 11:36

수학여행 가는 날, 8시30분에 모이라는데 7시에 모인 어르신들

6일 이른 아침, 서귀포 오석학교에 사람들이 북적거립니다. 수학여행을 떠나는 날이라 휴일인데도 자원교사와 만학도 어르신들이 모였습니다. 오전 8시30분에 모이기로 했는데, 7시부터 어르신들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수학여행이 설레기는 어린이나 어른이나 마찬가지입니다.6일

서귀포 오석학교 서귀포사람들 2025-06-11 13:54

들깨 향 물씬 푸짐한 오리탕이 8,000원, 배도 마음도 채웠다

구도심 음식거리를 찾다가 우연히 들어간 식당에서 맛있고 가성비 갑인 음식을 먹었다. 구수하고 국물맛 진한 오리탕인데, 찰진 쌀밥과 함께 국물까지 싹 말아 먹었다. 푸짐한 고기에 들깨 향 물씬 풍기는 오리탕이 8,000원이라니 배도 채우고 마음도 채웠다.서귀포시 천지동

동네 맛집 장태욱 2025-06-05 16:04

숭고한 의식 끝난 자리에 하얀 꽃비가 내렸다

누런 보리 물결 넘실거리고황토색 자리돔 살이 오르면멀리 한라산 자락에서꽃바람이 분다.한남시험림 가는 길새 옷 입은 나무들아침 숲 풋풋한 향기잠자는 바람도 깨운다무슨 숭고한 염원인지하늘을 향해 들어 올린 꽃엄숙한 의식(儀式) 끝난 자리에하얀 꽃비가 내렸다.PHOTO BY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6-03 10:16

바다향과 진한 국물, 쫄깃한 식감까지.. 손님 몰리는 이유

정오도 되지 않았는데, 식당은 손님들로 북적인다. 중산간에 있는 식당인데, 손님들 대부분이 해산물 요리를 먹고 있다. 전복칼국수라는데, 진한 국물맛과 함께 바다향이 입맛을 돋운다. 쫄깃한 전복 식감, 그건 신선한 재료만이 줄 수 있는 선물이다.중산간 깊은 마을 저지리가

동네 맛집 장태욱 2025-05-30 09:29

별을 기다리는 삼매봉 자락, 풍경만으로 신선이 된다

남녘 먼 바다 너머밤하늘 밝은 별인데이 땅의 고달픈 백성은무병장수를 빌었다.별을 기다리는 마음너무 애달파여기 땅은 오르고물은 떨어진다.노인성 찾아오는삼매봉 자락에선물소리와 풍경만으로난 이미 신선이다.PHOTO BY 양희라 제주별 여행자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5-27 00:39

채소 향 머금은 매콤 담백한 두루치기, 구수한 솥밥과는 무한회로

농장에서 일을 하는데, 비가 내렸다. 조금 젖은 몸으로 점심을 먹어야 하는데, 미안해서 아무데나 들어갈 수 없다. 이럴 땐 야외에서 노동하는 사람들이 자주 가는 식당이면 좋다.남원읍 신례리에 있는 ‘산수갑산’, 이곳 마을 사람들이 즐겨 찾는 식당이다. 밭에서 일을 하던

동네 맛집 장태욱 2025-05-21 14:42

친절한 숲 터널 끝엔 숨이 멎을 것 같은 황홀경

비 갠 휴일 새벽아무리 호들갑 떨어도등산길에 먼저 온 건부지런한 햇빛연둣빛 숲 터널 아래친절한 조릿대그 길의 끝에노로오름 정상맑은 하늘도 부족한지철쭉마저 불을 밝혀마침내 드러나는 풍경너로 인해 숨이 멎었다.PHOTO BY 양희라 제주별 여행자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5-20 01:14

살려고 오사카로 이주했고, 70년대 개발광풍에 화전 빼앗겼다

<양 유서 화전에서 계속>도순동 산록도로 북쪽 ‘편안널’이란 지역 중 산 77-5번지에는 양 유서 화전이 있었다. 양 유서는 유학자를 이르는 유서(儒書)에서 온 이름이다. 양 유서 화전터에는 숲이 조성되기 전 세 채의 집이 있었다고 전한다.양 유서 화전에 살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한상봉 2025-05-14 08:16

천연난대림 팔 아래서 단꿈 꾸는 돌탑

한라산 자락에구름 두텁게 걸리면쏟아지는 빗물담기도 버거워팔색조의 노래먼 하늘에 닿았나고살리 천연난대림둑이 쌓였다.키다리 단벌신사 같은구실잣밤나무 팔 아래서오지 않는 이 기다리며단꿈 꾸는 돌탑PHOTO BY 양희라 제주별 여행자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양희라 2025-05-13 01:37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5-07-01 15:09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숲의 한 구석 되고파 언덕처럼 오르는 길, 새연교

2025-06-30 07:40
여행

쫄깃하고 고소한 누룽지오징어순대, 부럽다 속초!

2025-06-27 22:11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제주도에만 자생, 이토록 앙증맞은 꽃인데 왜 몰랐지?

2025-06-26 23:44
이슈

민둥오름이던 물영아리, 숲이 빠르게 확산해 한라산 숲과 연결된다

2025-06-26 08:15
공간·공동체

하원과 상원(영실) 사이 중원은 화전마을이었다

연재 인기기사

  • 1

    들깨 향 물씬 푸짐한 오리탕이 8,000원, 배도 마음도 채웠다

  • 2

    큼직한 도미가 내는 싱싱하고 담백한 맛, 고급 지리가 1만 원

  • 3

    산 허리는 구름, 이끼 낀 웅덩이는 고요 담았다

  • 4

    숭고한 의식 끝난 자리에 하얀 꽃비가 내렸다

  • 5

    수학여행 가는 날, 8시30분에 모이라는데 7시에 모인 어르신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