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5월 15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HOME
  • 연재

연재

구두리와 가문이, 푸른 저들과 벗이 되고 싶다

주말이면 거친 숨을 쉬며오름을 오르고 내리길 거듭했다.2023년 마지막 날도 어김없이 오름을 올랐다.남조로 변에 서로 자신을 낮추고 친구처럼 서있는구두리오름과 가문이오름.편백나무와 삼나무 숲을 지날 무렵,푸른 숨을 내쉬며 고백했다."나 또한 푸른 이들과 벗이 되고 싶다

여행 양희라 2023-12-31 19:58

2023년 오석학교 상록제 30일 열려

서귀포 오석학교가 12월 30일 상록제를 열었습니다.자원봉사 교사와 만학도 어르신들이 모여 가방고리와 에코백을 만들고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었습니다.자원봉사 교사들이 이른 아침 천막과 테이블, 의자, 음향장치, 풍선장식 등을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맛있는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3-12-31 01:30

인삼•대추 향과 진한 국물, 돼지족탕이 왜 이리 고급스러워?

날씨가 쌀쌀해지면 따뜻한 국물요리가 그리워지게 마련이다. 싸늘해짐 몸과 마음을 데우기에는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물이 최고다. 거기에 김치나 깍두기 한 점 더하면 겨울 음식으론 더할 나위 없다.▲ 돼지족탕 1인분 한 상(사진=장태욱)토평에서 사업하는 벗이 자주 가는 음식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3-12-29 23:43

사선으로 내리는 비, 집을 고립시키는 폭설.. 육지것은 힘들었다

제주의 집을 지키기로 하고, 서울에 가서 짐을 정리해서 오는 길에 백화점에 들렀습니다. 제주에 비가 많이 온다고 하니, ‘그럼 예쁜 비옷을 하나 사서 제주에서 입고 다녀야 하겠다’라고 생각했지요. 핑크색의 예쁜 비옷을 들고 제주 집에 돌아왔습니다. 드디어 비가 옵니다.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키라 이금영 2023-12-28 01:09

화전세와 마장세에 반발, 방성칠 지휘 아래 수만 명 관아로 집결

19세기 중엽에 만주로 들어가 간도 땅을 개척하는 조선인 수가 크게 증가해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영토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제주에서 화전민이 목장이나 산간으로 이주해 화전을 일구는 시기는, 한반도 북부에서 조선인이 국경을 넘어 만주 땅을 일구는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3-12-27 02:34

쓸쓸하여 귀신도 살지 않을 산정호수, 겨울 하늘을 품었다

성탄절 앞두고 폭설이 내렸지만,마음이 동하는 대로 설산을 향했다.눈 덮인 길 위를 한 발 한 발 내딛으며가까스로 물영아리 정상에 오르니시간이 멎은 듯, 사방천지가 고요하고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않을 산정호수는차가운 겨울 하늘을 담았다.

여행 양희라 2023-12-26 21:20

1968년 신조선 남영호, 서귀포에 활력 불러왔다

해방 이후 제주도와 외부를 연결하는 뱃길을 1960년대까지 끊겨 있었다. 이후 박정희가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이후, 제주도 하늘길과 뱃길이 열렸다. 기선 덕남호(총톤수 280.3톤, 정원 289명)가 1963년 1월 4일 제주항에서 취항해 제주-목포 구간 운항을

사건의 재구성 (사)기록과 기억 2023-12-25 01:09

일출 뺀 모든 아름다움이 지금 여기에 있다

새벽 서귀포 해안매섭게 눈발을 퍼붓던 구름이 잠시 물러가고조금씩 푸른 하늘이 열린다.여명 걷히고 눈앞에 선명한 범섬, 문섬 그리고 섭섬신은 세상 아름다운 것들 중에 일출을 뺀 모든 것을 이곳에 놓았다.지금 여기, 나 그들과 함께 있다.사진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3-12-23 09:12

‘없어’가 ‘어서’, ‘각시어멍’이 ‘가시어멍’.. 받침 바람에 날렸나?

▲ 삼춘과 귤을 따는 날은 키라가 제주어를 배우는 날입니다. 일을 하면서 진짜 제주어의 맛을 알게 됐습니다.(사진=키라)2017년 겨울, 주인 삼춘을 따라 처음 귤 따러 갔던 첫날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새벽 다섯시에 일어나, 도시락을 싸고, 트럭을 타기 위해 위미우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키라 이금영 2023-12-21 00:34

갈색 겉면 안에 선홍색 고기, 하얀 치즈 듬뿍.. 향기에 취한다

▲ 치즈돈까스(사진=장태욱)남원읍에 돈까스 전문 음식점이 생겼다는 예기를 몇 달 전에 들었다. 돈까스를 보면 떠오르는 추억도 있고, 아직까지 ‘초딩 입맛’이 남아 있어서 여전히 좋아한다. 귤 수확을 마쳤는데, 날씨마저 추워서 특별히 할 일도 없는 날이다. 점심에 고소한

동네 맛집 장태욱 2023-12-20 11:58

성난 화전민 봉기하자 제주목사는 무서워 도망쳤다

▲ 무등이왓 중퉁굴. 임술년 제주민란을 주도했던 강제검은 안덕면 무등이왓 출신 화전민이다.(사진=한상봉)18세기 말부터 제주관아는 재정은 빈약해졌다. 관아는 19세기에 들어서자 화전에 대해 세금에 부과됐다. 화전세는 정해진 세율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일반적으로 지방관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3-12-19 03:50

눈 덮인 머체왓, 발자국은 마음에 쓰는 편지

첫눈이 내렸다.추워진 날씨 때문에 하루 쉴까, 잠시 망설이기도 했다.하지만 그것도 잠시, 서둘러 길을 나섰다.나를 기다린 순백의 머체왓!내 방문에 대한 답례로는 넘치는 장관이다.눈 쌓인 숲길에 첫 발을 내딛는 순간,백지 위에 편지 첫 구절을 쓰는 것처럼 설렘이 차오른다

여행 양희라 2023-12-17 17:26

제대로 나이드는 법 알려준 건, 내 친구 '제주 할망'

▲ 주인 삼춘과 점심을 먹던 날의 풍경입니다.(사진=키라)저도 모르는 사이 사십 대 중반이 되었습니다. 저는 안 늙을 줄 알았습니다. 제 나이 40을 그려본 적이 없었는데 당연히 60세의 저를 그려본 적은 더더욱 없었습니다.산티아고 순례길을 가겠다고 스페인에 갔을 때,

제주 사는 키라씨 키라 이금영 2023-12-13 21:24

인생 처음 홍어요리 먹는 날, 네 번 놀랐다

▲ 처음 나온 음식 한 상. 통상 반찬이 먼저 나오는데, 여긴 반찬 대신 식사 한 상이 나온 느낌이다.(사진=장태욱 )저녁 식사 자리에 초대받았다. 장소가 ‘쌈박집’이라고 했다. 술꾼 여럿이 끼는 자리라, 술안주를 염두에 둔 선택이겠거니 했다.6시30분 약속인데 5분

동네 맛집 장태욱 2023-12-12 22:58

살기 위해 화전민 됐고, 벼랑 끝에선 반란 중심에 섰다

▲ 고빼기화전에 남아 있는 도기편(사진=한상봉)화전은 그 위치에 따라 목장화전(牧場火田), 산간화전(山間火田), 고잡화전(花前火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내용과 함께 목장화전과 산간화전에 대해 전편 기사에 소개했다.고잡(花前)화전은 숲과 가까운 곳에서 산전을 개간해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3-12-12 02:11

  • 16
  • 17
  • 18

최신기사

2025-05-14 08:16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살려고 오사카로 이주했고, 70년대 개발광풍에 화전 빼앗겼다

2025-05-13 01:37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천연난대림 팔 아래서 단꿈 꾸는 돌탑

2025-05-12 10:39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트랙터 버스 마을 구석을 누비고 귤꽃 스카프 깃발처럼 날린 날

2025-05-11 07:47
동네 맛집

이토록 고급스럽고 건강한 밥상이 9,000원, 이러면 너무 미안한데

2025-05-10 09:16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꿀도 향기도 없지만, 수고 뒤에는 달콤한 열매를 약속하는 꽃

연재 인기기사

  • 1

    쇠소깍 선남선녀의 눈물, 밤새 안개로 피올랐다

  • 2

    이대터널과 비양나무, 특별한 시간을 기억하는 섬

  • 3

    산정호수 아래 이처럼 어여쁜 난초 키운 건 쏟아지는 낙엽

  • 4

    산속에 재건된 초가 사찰, 예불 때 화전민에게 손녀 맡긴 할머니

  • 5

    1918년 거사의 행동대장 화전민 형제, 대가는 혹독했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